[리눅스] disk 연결하고 mount 하기 - df, fdisk, lsblk, mkfs, blkid, fstab
서버의 용량이 부족하다는 알람을 받고 확인해보니 더 이상 줄일 수 있는 공간이 없었습니다.
그런데 혹시나 싶어 확인했던 lsblk 명령어로 사용하지 않는 큰 용량의 디스크가 붙어있는 것을 확인했고,
디스크를 붙여 용량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.
확인
$ df -h
정상적으로 디스크가 연결되어 있다면 위와 같이 Filesystem 의 disk 가 mount 되어 있어야 합니다.
$ df -TH
디스크의 Filesystem type 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새로 연결한 디스크의 Filesystemp type 을 기존에 쓰던 것과 동일하게 ext4로 맞춰줘야합니다.
$ fdisk -l
실제 물리 서버에 연결된 디스크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
$ lsblk
fdisk -l 명령어로 확인한 내용이 너무 많아 확인하기 어려우니, 간편하게 lsblk 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→ 여기서 sda2는 디스크가 연결되어 있고, '/' 로 mount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, sdb2 는 연결은 되어 있으나 mount 가 안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$ mkfs
2가지 사용법이 있습니다.
- mkfs.<변경할 타입> <disk>
- mkfs -t <변경할 타입> <disk>
둘 중 편한 방법으로 사용하면 됩니다.
위의 명령어들로 상황을 파악했고, 다음과 같이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.
1. sdb2 디스크가 연결만 되어 있는 상태이고, sdb2와 다른 Filesystem type 으로 되어 있었습니다.
따라서 아래의 명령어로 Filesystem type 을 변경해 주었습니다.
$ mkfs -t ext4 /dev/sdb2
2.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고, 마운트를 진행하였습니다.
$ mkdir /data001
$ mount /dev/sdb2 /data001
3. 마지막으로 마운트 후에 서버가 재시작된 이후에도 마운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래의 파일을 수정해 줘야 합니다.
$ vi /etc/fstab
# 아래 내용 추가
/dev/sdb2 /data001 ext4 defaults 0 0
최종적으로 확인했을 때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disk 가 mount 되어 사용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$ blkid
$ df -h